내밀 예찬
“이제 내향형 인간의 시대가 왔다”
은둔과 거리를 사랑하는
어느 내향인의 소소한 기록
이제 ‘내향형 인간’의 시대가 왔다. 첫 산문집 『우아한 가난의 시대』(2020년 문학나눔 선정도서)에서 MZ세대의 만성적인 빈곤감과 우아한 삶을 향한 욕망에 관해 이야기했던 김지선 작가가 이번 책에서는 내향인의 거리두기와 내밀한 삶에 관해 이야기한다. 지난 2년여간 코로나로 인해 생긴 물리적 거리두기는 사람 간의 심리적 거리두기로도 이어졌다. 그런데 작가는 그 사이에서 묘하고 은밀한 해방감을 느꼈다. 이 ‘떳떳하지 못한’ 감정의 실체는 무엇인가. 내향인에게 거리두기란 ‘국가가 허락한’ 세상과의 거리이자, 자유로움이었다.
원만함이 최고 미덕이었던 한국 사회에서 ‘혼자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말은 ‘이기적인 사람’ ‘타인과 잘 못 어울리는 사람’ ‘유난한 사람’ 등으로 치부되어왔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모두가 고통스러웠던 팬데믹 상황에서 그간 무시되기 쉬웠던 개인의 시공간이 확보됐다. 공간의 밀도는 낮아졌고 관계의 점도는 떨어졌으며, 홀로 있는 시간이 자연스러워졌다. 집단주의의 관성이 일시적으로 해체되었으며, 개인의 선택이나 행동이 별스러워 보이지 않는 세계가 열렸다. 작가는 빠른 속도로 예전으로 돌아가고 있는 지금, 우리 앞에 잠시 모습을 드러냈던 최소한의 거리가 존중되는 세계에 관해 지속적으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혼자 점심을 먹으며 회복하는 시간’ ‘수치심을 처리하기 위한 장소 마련하기’ ‘안 웃긴 말에 무표정할 권리’ ‘칠흑같이 어두운 시간 활용하는 법’ ‘간장 종지 크기의 사랑일지라도 여러 개 품는 사랑’ 등 한정된 에너지 속에서 작가만의 내밀한 방식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이야기를 책을 통해 들려준다.
1984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국어국문학을 공부하고 영화지 [프리미어]와 패션지 [마리끌레르] [하퍼스 바자]에서 에디터로 일했다. 현재는 출판편집자로 책 만드는 일을 한다. 글을 쓰는 일을 두려워하면서도 내심 좋아한다. 다른 사람이 쓴 글을 읽거나 만지는 일은 좀 더 산뜻한 마음으로 좋아한다. 드러난 것들과 숨겨진 것들 사이에서, 사라진 물건을 찾으며 많은 시간을 보낸다. 책 『우아한 가난의 시대』 를 썼다.
프롤로그
1부 내밀 예찬
점심 이탈자
내밀 예찬
재택의 기쁨과 슬픔
무표정의 아름다움
말과 시간의 연주자들
어둠 사용법
수치심을 위한 장소
걷기의 예술
낄낄의 중요성
2부 숨고 싶지만 돈은 벌어야겠고
숨고 싶지만 돈은 벌어야겠고
스타벅스 테이블 라이터
간장 종지 크기의 사랑
단골집의 부재
고양이들의 도시
이웃이라는 낯선 존재
예민한 것이 살아남는다
거울이 다른 거울을 들여다볼 때
이메일을 보내며
파티션이 있는 풍경
술자리를 추모하며
3부 잃어버린 정적을 찾아서
3월 2일의 마음
누군가의 집을 방문할 때
최선의 솔직함
6인용 식탁
잃어버린 정적을 찾아서
일 머리가 없다는 말
의전의 거리
오늘의 메뉴
하지 말아야 할 농담
몸에 관한 이야기
지루함의 발명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