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언제 예술이 되는가
대중적 언어로 예술의 정수를 이야기하는 김형수의 작가 수업!
『삶은 언제 예술이 되는가』는 광활한 몽골 초원을 배경으로 한 칭기스칸의 이야기를 다룬 소설 《조드: 가난한 성자들》을 통해 폭발적인 반응을 얻어낸 바 있는 소설가 김형수의 30년의 글쓰기, 15년의 문학 강의를 정리한 책이다. 단편과 장편, 장르를 오가며 아름다운 문장으로 독자들에게 감동을 선사했던 김형수는 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제반의 실천적 확립과 노력에 앞서 ‘가치관’을 얻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가 말하는 3개의 가치관인 문학관, 창작관, 작가관 중 이 책은 문학관에 해당되는데, 이 책에서는 먼저 ‘문학’이 무엇인지 솔직하고 담담하게 그리고 정갈한 언어로 이야기한다.
저자 : 김형수
저자 김형수는 1959년 전라남도 함평에서 태어났다. 1985년 《민중시 2》에 시로, 1996년 《문학동네》에 소설로 등단했으며 1988년 《녹두꽃》을 창간하면서 비평 활동을 시작했다.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정열적인 작품 활동과 치열한 논쟁을 통한 새로운 담론 생산은 그를 1980년대 민족문학을 이끌어온 대표적인 시인이자 논객으로 불리게 했다. 시집 《빗방울에 대한 추억》, 장편소설 《나의 트로트 시대》, 《조드-가난한 성자들》 1, 2, 소설집 《이발소에 두고 온 시》, 평론집 《반응할 것인가 저항할 것인가》 외 다수와 《문익환 평전》 외 다수와 고은 시인과의 대담집 《두 세기의 달빛》 등의 저서가 있다.
책을 내면서
여는 마당 문단으로부터의 리포트
첫사랑
세계에 대한 명명자로서의 작가
문학적 생애를 피곤하게 하는 미신들
어떤 공부가 필요한가
문학하는 삶의 고독에 대해서
1장 인간학으로의 초대
거인 이야기
인식의 도구들
존재의 어둠 속에서
꿈 상처 절망 용기……의 발명자들
버스 안내양이 문학에게 받은 선물
2장 언어라는 생물에 대하여
예술과 다른 언어
문학과 다른 언어
형상, 형상화, 형상적 사유
보론
3장 노래와 이야기
겨울과 봄 사이
서정적 장르의 발원지
서사의 냄새
장르에 대한 작가들의 견해
서사적 운문과 서정적 산문은 없을까?
4장 창작방법에 눈뜰 때
굽혀 뛰기를 할 때와 젖혀 뛰기를 할 때
사조에서 방법으로
신대륙 발견
낭만주의의 입구와 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