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할 수 없는 애인
규정되지 않고 불확정적인 것들을 노래하는 시인 김이듬. 2001년 데뷔한 이후 다양한 상황의 시적 재현에 공들이는, 철저하게 개별화된 시적 담론을 추구하며 시단의 한 그룹을 형성한 그녀가 “육체의 감각 밑에서 시를 발굴”했던 첫 시집과 “도저하고 명랑한 자의식의 세계”를 보여주었던 두번째 시집을 거쳐 세 번째 발걸음을 내딛었다.
죽음의 환락 속으로 거칠게 틈입하는 김이듬의 ‘마임’은 김수영이 일찍이 건설한 ‘온몸-게토ghetto’의 성실한 시민, 아니 ‘흔들리는 난민’으로 주체를 등록하기 위한 ‘자해’와 ‘헌정’의 몸짓이다. 말 그대로의 “타고난 발성”은 입을 막거나 목청을 제거하면 그만이라는 점에서 언제나 불충분하고 불안정하다. 그녀의 ‘온몸’이 언어이고 입이어야 하며 그녀가 ‘온몸’에 구멍을 계속 뚫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말과 피를 동시에 철철 흘리는 ‘온몸의 마임’. 그곳은 말할 수 없는 애인끼리의 모럴moral과 에로티시즘, 그리고 대화가 갱신되고 성숙되는 원형 공간 그 자체이다. 여전히 빛나지 않는 것들과 함께, 그들의 말할 수 없는 빛남에 대하여 말하기 위한 시인의 몸부림이 강렬한 인상을 남겨주는 작품집이다.
저자 : 김이듬
저 : 김이듬
진주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성장하여 부산대학교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경상대학교 국문학과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01년 『포에지』로 등단하여 세 권의 시집 『별 모양의 얼룩』, 『명랑하라 팜 파탈』, 『말할 수 없는 애인』과 장편소설 『블러드 시스터즈』를 발간했다. 제1회 시와세계작품상(2010)과 제7회 김달진창원문학상(2011)을 수상했다. 경상대, 경남과학기술대 등에 출강하며 진주KBS라디오 ‘김이듬의 월요시선(月曜詩選)’을 진행 중이다. 2012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파견작가로 선정되어 독일베를린자유대학에서 한 학기 간 생활했다. 2013년 여름부터 석 달 간 아이오와대학 국제창작프로그램(IWP)에 한국작가로 참가한다.
시인의 말
제1부
나 말고는 아무도
함박눈
겨울 휴관
말할 수 없는 애인
인공호흡
사생아들
꽃다발
날치고 훔치고
거기 누구 없어요
문학적인 선언문
죽지 않는 시인들의 사회
페와 이발사
파도
날마다 설날
12월
호수의 백일몽
제2부
기적
기타의 행방
모계
백발의 신사
너무 놀라지 마라
당신의 코러스
카트를 타고
질 & 짐
생활의 발견
마임 모놀로그
자살
버린 애
옥상에서 본 거리
도플갱어
오빠가 왔다
제가 쓴 시가 아닙니다
지방의 대필 작가
나의 파란 캐스터네츠
어머니의 방
달래보기 시리즈
부부 자해공갈단
권태로운 첫사랑
나는 세상을 믿는다
동시에 모두가 왔다
크라잉게임
아케이드
숲
이상한 모국어
제3부
나는 스물한 살이었다
응답
성으로 가는 길
전람회, 동피랑, 골목
종업원
오늘도
마지막 연인
스침
제자리뛰기
슬럼프
등단 7년
저물녘 조언
여자가 여자를 사랑할 때
세레나데
삼월은 붉은 구렁을
행진
고향의 난민
해설|‘마임 모놀로그’의 행방_최현식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