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홍 나막신
이상시문학상, 대산문학상, 미당문학상, 김수영문학상을 수상한 시인 송찬호의 다섯번째 시집 [분홍 나막신]. 말과 언어에 대한 깊이 있는 모색을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상징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송찬호의 시 세계는 미에 대 한 고전적classical인 품격과 깊이를 지닌다. 어떤 개념이나 도구 없이 세계에 은폐된 의미를 발견하려는 고전적인 태도는 우리가 오랫동안 망각해왔거나 상실해버린 ‘미학으로서의 시’ 혹은 ‘시의 미적 정체성’의 문제를 환기한다.
저자 : 송찬호
저자 시인 송찬호는 1959년 충북 보은에서 태어났다. 1987년 『우리 시대의 문학』 6호에 작품을 발표하면서 시단에 나 왔다. 시집으로 『흙은 사각형의 기억을 갖고 있다』 『10년 동안의 빈 의자』 『붉은 눈, 동백』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이 있다. 이상시문학상, 대산문학상, 미당문학상, 김수영문학상, 동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1부
금동반가사유상|안부|분홍 나막신|여우털목도리|장미|귀신이 산다|눈사람|복숭아|2월의 노래|불의 가족|청동시대|모란이 피네|검은 백합
2부
냉이꽃|울부짖는 서정|백한번째의 밤|구덩이|두부집에서|장미|폭설|11월|돌지 않는 풍차|붉은 돼지들|우물이 있던 자리|개똥지빠귀|버드나무 불망기(不忘記)|이슬
3부
쑥부쟁이밭에 놀러가는 거위같이|모닥불|봄의 제전(祭典)|부유하는 공기들|하녀(下女)|토끼를 만났다|이상한 숲속 농원|거인의 잠|상어|환(幻)|북쪽 사막|왕자와 거지|베어낸 느티나무에 대한 짧은 생각|참새|나는 묻는다
4부
영국 공기|튤립|옛날 노새가 지나갔다|연못|존 테일러의 구멍 난 자루|화북(化北)을 지나며|마을회관 준공식|검은제비나무|저수지|내가 낮잠을 자려할 때|도라지꽃 연정
해설|상징의 발견과 미의 복원_ 이재복(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