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시대에 대한 성찰과 고민을 담은 다산의 사상과 생애를 살핀다!
시대를 이끈 사상가의 핵심사상과 저작을 10가지 주제로 살펴보는「인문고전 깊이읽기」. 이 시리즈는 한국의 인물과 사상을 다룬다. 제11권 『정약용』은 다산의 저작들을 단편적으로 분석하고 적용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그의 생애와 사상을 전체적으로 파악한다. 다산의 핵심 사상인 ‘상’에 대하여 살피고 우리가 오해하고 있던 다산의 모습을 바로잡는 등 다산을 이해하는 올바른 길로 안내한다. 비운의 천재가 평생 공부하고 집대성해 내놓은 저작을 통해 시대에 대한 성찰과 고민을 만나볼 수 있으며, 바로 이 고민과 성찰이 우리 시대에도 보편적인 해결방법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저자 :
저자 :
저자 : 함규진
저자 함규진은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정약용 정치사상의 재조명」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정치사상에 중점을 두고 동양과 서양, 근대와 전근대, 진보와 보수 등의 접점과 화해를 모색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용인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했으며 지금은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있다. 쓴 책으로는 『왕의 투쟁』 『왕의 밥상』 『10대와 통하는 윤리학』 『김구. 전태일. 박종철이 들려주는 현대사 이야기』 등이 있다. 『중앙선데이』 『한겨레 21』, 네이버캐스트 등에 기고했으며, 『죽음의 밥상』(피터 싱어 외), 『물에 빠진 아이 구하기』(피터 싱어), 『유동하는 공포』(지그문트 바우만), 『마키아벨리』(레오 스트라우스), 『대통령의 결단』(닉 래곤)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한국사상의 첫 줄에서 다산이 기다린다
1 정약용의 삶과 시대
누가 나를 읽어줄 것인가
2 인간이란 무엇인가
심(心)의 문제
3 자연과 인간
리(理)와 상(常)
4 인간과 사회
도(道)와 덕(德), 효제자(孝弟慈)
5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정전(井田)과 구직(九職)
6 만천명월의 주인을 기다리며
황극(皇極)
7 황극 세계의 일꾼들
무재이능과와 고적제
8 백성의 힘
민망에서 민자권까지
9 무불통지의 다산
『흠흠신서』에서 『아언각비』까지
10 근대와 동서의 교차로, 그 위의 다산
『여유당전서』를 덮으며
주註
다산을 알기 위해 더 읽어야 할 책과 글
다산사상을 이해하기 위한 용어 해설
다산에 대해 묻고 답하기
다산에 대한 증언록
정약용 연보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