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 기반 시설물 유지관리
BIM 기반을 활용한 새로운 건설 기술의 패러다임을 제시
우리가 다루는 시설물은 생애주기와 설계, 시공, 운영 및 유지관리에서의 피드백의 주기가 길어서 비효율적인 실무가 반복되는 경우가 많다. 결과적으로 이를 운영하고 유지관리하는 주체 입장에서 비용을 더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BIM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 중 하나가 정보의 공유와 재활용이다. 이런 측면에서 NIST 등에서도 BIM의 활용도가 가장 높은 단계를 O&M이라고 평가하였다.
이 책에서는 건설 실무의 기존 방식에서 BIM 기반으로 전환될 때의 추가적인 시간과 비용에 대한 효과를 정량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방안과 그 예시들이 담겨 있기 때문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읽어보고 참고할 만하다.
이 책은 기존 전통적인 시설물 운영 유지관리 방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최근 건축 분야에서부터 활용되기 시작한 BIM과 그 외의 최신 기술을 통해 해결해나가는 방법을 제시한다. 책 전반부에는 BIM 기반 시설물 운영 유지관리의 필요성과 배경, 정의, 활용되는 기술, 지침, 법, 표준 등을 다룬다. 후반부는 COBie등을 이용한 시설물 운영 유지관리 정보 모델링과 실제 이러한 기술과 프로세스가 적용된 사례들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사례에 쓰인 기술, 도구, 지침, 법적 권리, 표준 등이 어떻게 활용되고, 그 과정에서 어떠한 문제가 있었는지, 어떻게 해결하고 무슨 교훈을 얻었는지를 기술하고 있다.
이 책은 최초로 BIM 기반 FM을 다루고 있어 그 내용이 풍부하고 깊다. 학생을 위한 교재나 실무자를 위한 실용서로 활용될 수 있다.
감사의 글
Preface
Acknowledgments
Chapter 1 소 개
관리방법 요약
현재 FM 실무 문제점
어떻게 BIM FM 통합이 현재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까?
전생애 동안 그래픽과 데이터 변화의 필요성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의 필요
BIM FM 통합의 사용자 이익
데이터의 간소화된 전달과 효과적인 데이터 활용
건물 생애주기 동안 이익
통합 시스템은 건물 개선 계획에 사용될 수 있음
BIM FM 통합 ROI 계산
Chapter 2 FM을 위한 BIM 기술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표준과 데이터 교환
FM을 위한 BIM의 도전
실무에서 FM BIM : 병원 BIM 컨소시엄 이니셔티브
떠오르는 기술과 BIM
클라우드 컴퓨팅
FM을 위한 모바일 컴퓨팅
모바일과 RFID 기술
모바일과 클라우드 기술
증강 현실
센서 데이터
BIM 구성요소 데이터
표 준
참고문헌
Chapter 3 FM 지침을 위한 발주자 BIM
소 개
GSA 지침
BIM and FM ?시설물 관리를 위한 BIM 활용의 비전과 목표
Tier 1
Tier 2
Tier 3
GSA 협회와 컨설턴트를 위한 지침 구현
모델링 요구사항?Record BIM
높은 수준의 모델링 요구사항
BIM 저작 어플리케이션
BIM 모델 구조
자산 식별 번호
디자인, 시공, Record BIMS
요구되는 BIM 객체들과 속성들
국가설비표준(National Equipment Standard)
Record BIMs의 구조
모델링 정밀도
일관된 단위와 원점
Record BIMs의 제출 전 활동
As-Built BIMs 유지보수 및 갱신
COBie 제출물
최소 COBie 요구사항
COBie 산출물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