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외로 읽는 한국 현대사
실시간으로 뉴스를 접할 수 없었던 과거에는 대형 사건이 터지면 호외를 발행해 급한 소식을 전했다. 호외를 뿌리던 신문 배달 소년들의 모습과 한 장씩 뿌려진 호외를 집어 들고 '오늘 또 무슨 큰일이 터졌구나!' 하고 놀라던 시민들의 모습은 이제 옛 사진에서나 볼 수 있는 모습이 되었다.
오늘날에도 빈도는 줄어들었지만 종종 호외가 발행되곤 한다. 호외는 중요한 사건을 좀 더 빨리 보도한다는 의미만 갖는 것이 아니다. 호외는 우리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대사건들을 가장 먼저 기록한 것으로, 호외의 역사는 지난 역사 속 대사건들의 색인과 마찬가지다. 일제 치하에서는 나라 잃은 설움과 저항의 역사를, 해방 후 지난 70년간은 정치·사회적 격동기의 굵직한 사건들을 기록해온 것이 바로 호외다. 따라서 이를 정리하는 것은 우리 역사를 되짚어보고 고찰하는 의미 있는 한 걸음이 될 것이다.
<호외로 읽는 한국 현대사>는 150년의 한국 근현대사와 함께한 호외를 통해 우리 역사의 격동의 순간들을 다시 읽는 책이다. 저자는 그간 수집한 호외를 토대로 1997년에 <호외, 백 년의 기억들>이라는 책을 펴낸 바 있다. 이후 20여 년의 세월 동안 새로 발행된 호외들을 추가해 개정 출간한 것이 <호외로 읽는 한국 현대사>다.
1959년 경남 함양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와 고려대 언론대학원(석사)을 졸업했다. 1984년 중앙일보 입사를 시작으로 언론계에 입문하여 서울신문 차장, 오마이뉴스 편집국장 등을 지내며 20여 년간 기자로 활동했다. 1980년대 말부터 친일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자료 수집과 취재를 해왔으며, 이런 인연으로 참여정부 시절 ‘제2의 반민특위’로 불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사무처장을 지냈다. 한국언론재단 연구이사, 상지대 초빙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국무총리 비서실장으로 일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실록 군인 박정희』, 『풀어서 본 반민특위 재판기록』(전 4권), 『임종국 평전』, 『친일파는 살아 있다』, 『조선의 딸, 총을 들다』, 『안중근家 사람들』, 『묻혀 있는 한국 현대사』, 『친일파의 한국 현대사』, 소설집 『작전명 녹두』(전 2권), 『혜주: 실록에서 지워진 조선의 여왕』, 대담집 『쓴맛이 사는 맛』 등이 있다.
차례 /
머리말
짧게 읽는 호외사
1. 강화도 조약, 1876년 2월 27일
2. 임오군란, 1882년 7월 23일
3. 갑신정변, 1884년 12월 4일
4. 일본군의 경복궁 급습 사건, 1894년 7월 23일
5. 영일동맹, 1902년 1월 30일
6. 한일의정서 체결, 1904년 2월 23일
7. 을사늑약, 1905년 11월 17일
8. 헤이그 밀사 사건, 1907년 7월
9. 안중근 의사 의거, 1909년 10월 26일
10. 한일병탄조약, 1910년 8월 22일
11. 고종 황제 승하, 1919년 1월 22일
12. 한성임시정부 수립, 1919년 4월 23일
13. 김상옥 의사 투탄 의거, 1923년 1월 17일
14. 관동 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1923년 9월 1일
15. 순종 황제 승하, 1926년 4월 25일
16. 나석주 의사 의거, 1926년 12월 28일
17. 광주 학생 항일 의거, 1929년 11월 3일
18. 윤봉길 의사 의거, 1932년 4월 29일
19. 손기정 마라톤 우승과 일장기 말소 사건, 1936년 8월 9일(마라톤 우승), 8월 25일(일장기 말소)
20. 조선교육령 개정, 1938년 4월 1일
21. 반민특위와 친일파 처단, 1948년 9월 22일
22. 여순 사건, 1948년 10월 19일
23. 김구 선생 서거, 1949년 6월 26일
24. 한국전쟁 발발, 1950년 6월 25일
25. 포로 교환 협정, 1953년 6월 8일
26.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1953년 8월 8일
27. 국가보안법 개정안 날치기 통과, 1958년 12월 24일
28. 「경향신문」 폐간 사건, 1959년 4월 30일
29. 3·15 부정선거와 마산 사태, 1960년 3월 15일
30. 4·19 혁명, 1960년 4월 19일
31. 이기붕 일가 변사 사건, 1960년 4월 28일
32. 5·16 군사 쿠데타, 1961년 5월 16일
33. 6·3 사태, 1964년 6월 3일
34. 월남 파병, 1964년 9월 11일
35. 한일협정 조인, 1965년 6월 22일
36. 한국비료 사건과 김두한 의원 오물 투척 사건, 1966년 9월 22일
37. 예산안 날치기 통과 파동, 1967년 12월 28일
38. 1·21 사태, 1968년 1월 21일
39. 푸에블로호 납치 사건, 1968년 1월 23일
40. 국민복지회 사건과 김종필 공화당 탈당, 1968년 5월 30일
41. 3선 개헌안 날치기 통과, 1969년 9월 14일
42. KAL기 납북 사건, 1969년 12월 11일
43. 대연각호텔 화재 사건, 1971년 12월 25일
44. 7·4 남북 공동성명, 1972년 7월 4일
45. 8·3 조치, 1972년 8월 3일
46. 남북 적십자회담 개최, 1972년 8월 30일
47. 10월 유신 선포, 1972년 10월 17일
48. 육영수 여사 서거, 1974년 8월 15일
49. 대통령 긴급조치 9호 선포, 1975년 5월 13일
50. 10·26 사건, 1979년 10월 26일
51. 5·17 비상계엄 확대, 1980년 5월 17일
52. 최규하 대통령 사임, 1980년 8월 16일
53. 언론 통폐합, 1980년 11월
54. 미얀마 아웅산 테러 사건, 1983년 10월 9일
55. 신민당, 제1야당으로, 1985년 2월 12일
56. ‘김일성 사망’ 오보 소동, 1986년 11월 17일
57. 노태우 ‘6·29 선언’, 1987년 6월 29일
58. 오대양 집단 자살 사건, 1987년 8월 29일
59. 김현희 KAL기 폭파 사건, 1987년 11월 29일
60. 5공 청산과 전두환 전 대통령 국회 증언, 1989년 12월 31일
61. 3당 합당, 1990년 1월 22일
62. MBC 파업 사태, 1992년 9월 2일~10월 21일
63. 부산 초원복집 사건, 1992년 12월 11일
64. 제14대 대통령에 김영삼 후보 당선, 1992년 12월 19일
65. 금융실명제 전격 실시, 1993년 8월 12일
66. 서해페리호 침몰 사고, 1993년 10월 10일
67. 북한 김일성 주석 사망, 1994년 7월 8일
68. 성수대교 붕괴, 1994년 10월 21일
69. 대구 지하철 도시가스 폭발 사고, 1995년 4월 28일
70. 민선 서울시장에 조순 씨 당선, 1995년 6월 27일
71.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1995년 6월 29일
72. 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1995년 11월 16일
73. 전두환 전 대통령 구속, 1995년 12월 3일
74. 제15대 대통령에 김대중 후보 당선, 1997년 12월 19일
75. 남북 정상회담, 2000년 6월 13~15일
76. 월드컵 4강 신화, 2002년 6월
77. 제16대 대통령에 노무현 후보 당선, 2002년 12월 19일
78. 노무현 대통령 탄핵안 국회 가결, 2004년 3월 12일
79.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2009년 5월 23일
80. 연평도 포격 사건, 2010년 11월 23일
81. 북한 김정일 위원장 사망, 2011년 12월 17일
82. ‘박근혜 세월호 7시간’과 「산케이신문」 서울 지국장 명예 훼손 사건, 2015년 12월 17일
83. 사드 배치 논란, 2016년 7월 8일
84. 박근혜 대통령 파면, 2016년 12월 9일(탄핵안 가결), 2017년 3월 10일(헌재 파면 결정)
85. 문재인-김정은 제3차 남북 정상회담, 2018년 4월 27일
86. 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 2018년 6월 12일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