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발머리 소녀
우리가 탐닉하는 일본 추리소설의 고전을 발굴하다
일본에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히가시노 게이고, 미야베 미유키 같은 추리소설 작가들은 흥미로운 사건을 추리해가는 묘미를 독자에게 선사한다. 그들은 어떻게 독자들을 사로잡는 스토리텔링의 마법을 부리는 것일까? 그들이 탄생할 수 있었던 특별한 문학적 환경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 이런 호기심에서 출발하여 고려대학교 일본추리소설연구회가 만들어졌고 3년여의 기나긴 논의와 연구를 통해 일본 추리소설의 시작과 전개과정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일본 추리소설 시리즈>를 펴내게 되었다.
이 시리즈는 1880년대 후반 일본에 처음 서양 추리소설이 유입되었을 당시의 작품서부터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직후까지의 주요 추리소설을 엄선하여 연대순으로 기획한 것으로, 이 시리즈를 통해서 일본 추리소설의 흐름과 경향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리즈에서 담고 있는 일본의 근대 개화기서부터 제2차 세계대전 패전까지의 추리소설은 서양의 추리소설과는 이질적으로 몽환적이며 그로테스크한 일본 특유의 작품들이 다수 창작되었고 일제강점기 우리나라의 추리소설 형성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 시리즈를 통해서 한국에서도 다수의 작품이 소개된 에도가와 란포라는 ‘일본 추리소설의 아버지’가 어떻게 탄생할 수 있었는지, 그리고 그가 동료나 후배 추리소설 작가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의 추리소설이 어떻게 변형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리즈는 가능한 한 한국에 소개되지 않은 작품을 선정하여 번역하고자 했고 이미 번역 소개된 작품도 번역된 지 오래된 작품은 요즘 표현에 맞게 가독성을 중시하며 재번역을 시도했다. 또한 이 시리즈는 일본 추리소설 연구자들이 수록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 한국 문학과의 관계, 추리소설사에서 차지하는 위치 등에 대해 상세한 해설과 작가의 상세 연표를 덧붙이고 있다. 이로써 독자들은 추리소설 자체의 재미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본추리소설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소설가, 문예평론가, 고증가, 사상가. 에도 출생. 1883년 아버지의 권유로 전신수기학교에 입학해 홋카이도에 전신기사로 부임했다가 문학에 뜻을 세우고 도쿄로 돌아온다. 1889년 처녀작 『츠유단단』을 발표했고, 1891년 인간과 예술의 위대함과 영원성을 표현한 소설 『오중탑(五重塔)』을 발표하여 작가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아속절충체의 남성적, 이상주의적 작풍으로 오자키 고요(尾崎紅葉)와 함께 일본 문단의 고로시대(紅露時代)를 열었다. 이후 고증, 평역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또, 중국사, 중국문학에도 조예가 깊었는데 특히 논어를 해설한 『열락』은 근대 유교문학의 걸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학사원 회원, 예술원 회원. 제1회 문화훈장을 받았다.
*오카모토 기도
단발머리 소녀
오후미의 혼
맹인의 강
*사토 하루오
지문
불의 침대
여계선기담(女誡扇綺譚)
어머니
무기력한 기록
*고다 로한
이상하도다
오카모토 기도,사토 하루오,고다 로한 공저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