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가지 심리의 법칙 - 출퇴근 한뼘지식 시리즈 by 과학동아 112
《7가지 심리의 법칙》에서는 시간의 심리, 시험 불안증, 사랑 유형, 거짓말 등 우리가 궁금했던 일곱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보편적인 심리 법칙을 신빙성 있는 연구와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자세하게 들여다본다.
연말 연초가 되면 마음도 뒤숭숭하고 유난히 달력을 쳐다보는 횟수가 많아진다. 금연, 다이어트, 적금 등 연초에 세웠던 당찬 계획과 결심은 모두 어디로 가 버린 건지 1년이 너무나 빨리 지나간 듯한 느낌이다. 반면 끔찍한 사고를 당했거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할 경우에는 시간이 멈추기라도 한 것처럼 시간은 슬로우 모션으로 느리게 흘러간다.
우리는 어떻게 시간을 인식하고 감지하기에 매 순간 다르게 받아들이는 걸까? 시간 변화의 비밀은 바로 ‘뇌’에 있다. 뇌는 시간을 잴 때 긴 시간은 해와 달 또는 주변 사물의 외부 환경 변화를 기준으로 삼고, 짧은 시간은 신체 변화를 기준으로 한다. 때문에 교통사고처럼 시각, 청각, 촉각 등 모든 감각이 예민해져 있을 때는 신체가 급속도로 변하기 때문에 뇌가 처리해야 할 정보량이 늘어난다. 당연히 평소에 의식조차 못했던 심장 박동 소리에 집중하기 때문에 시간이 더 길어진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다.
시험을 볼 때 갑자기 얼굴이 달아오르거나 심장 박동이 빨라진다면, 혹은 화가 나고 무기력해진다면, 무언가를 망가뜨리거나 만지작거리고 있다면 시험 불안증을 의심해 보자. 이 책에서는 왜 시험 불안증이 나타나는지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 하나하나 짚어 준다. 또한 시험을 잘 보는 보너스 팁까지 담았으니 꼭 체크해 두길 바란다. 이밖에도 문학, 정치, 경제, 과학기술에 숨어 있는 인간 심리의 비밀까지 파헤쳐 보자.
PART 1. 12월이 빨리 지나가는 이유
PART 2. 시험 불안 다스리는 비법 4가지
PART 3. 당신의 사랑 유형은?
PART 4. 거짓말을 멈출 수 없는 이유
PART 5. ‘뭔 말인지 알지?’가 쓸데없는 이유
PART 6. 거짓인 줄 알면서도 귀신을 보는 이유
PART 7. 왜 같은 사건도 다르게 기억할까?
SPECIAL. 마음도 진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