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만찬
제9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같은 작가로서 시샘이 날 정도이다” _한승원(소설가·심사위원장)
제9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최후의 만찬』이 출간됐다. 올해 혼불문학상 응모작은 총 263편이었고 예심을 통과한 작품은 총 6편이었다. 그중에 4편이 최종심에 올랐고 치열한 논의 끝에 신해년(1791년), 우리나라 최초의 순교자 윤지충과 권상연의 순교 장면으로 소설을 여는 『최후의 만찬』이 당선작으로 선정됐다. 심사위원장 한승원 소설가는 이 소설에 대해 “보기 드문 수작이다.” “나는 왜 이런 소설을 쓰지 못했을까, 시샘이 날 정도이다.” “다른 소설가들이 읽으면 깜짝 놀랄 작품이다.” 등의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심사위원들은 “우리 문학에서 오랜만에 만나는 품격 높은 새로운 역사소설”이 탄생했다는 사실에 주목했으며 “오랜 철차탁마를 거친 깊은 내공의 소유자이며 절제된 시적 문장을 다루고 있다”고 평했다.
혼불문학상은 우리시대 대표소설 『혼불』의 작가, 최명희의 문학 정신을 기리기 위해 2011년에 제정되어, 1회 『난설헌』, 2회『프린세스 바리』, 3회 『홍도』, 4회 『비밀 정원』, 5회 『나라 없는 나라』, 6회 『고요한 밤의 눈』, 7회 『칼과 혀』, 8회 『독재자 리아민의 다른 삶』등이 수상작으로 결정되었다. 혼불문학상 수상작들은 한국소설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며 독자들로부터 꾸준한 사랑과 깊은 신뢰를 받고 있다. 제9회 혼불문학상 심사위원으로는 한승원 소설가(심사위원장), 김양호 평론가, 김영현 소설가, 이경자 소설가, 이병천 소설가가 참여했다.
· 경남 함양 출생
· 전주대학교 국문학과 졸업
· 전북대학교 국문학과 문학박사
· 2015 장편소설 『왕의 초상』 출간
· 2017 장편소설 『혼,백』 출간
· 중편소설 「겨울누에」 외 다수의 단편소설 발표
· 2018 학술연구서 『혼불, 저항의 감성과 탈식민성』 출간
· 『혼불』과 관련한 논문으로 『『혼불』의 탈식민성 연구』, 「최명희 『혼불』의 인지의미론적 연구」, 「『혼불』과 [아바타]의 탈식민성 연구」 발표, 그 외 다수의 논문 발표.
· 2013 대한민국 스토리공모대전 최우수상 수상
· 2016 제8회 불꽃문학상 수상
· 2017 제12회 혼불학술상 수상
· 2019 제9회 혼불문학상 수상
· 현 전주대학교 한국어문학과 / 전북대학교 국문학과 출강
1부 죽은 자의 권리
2부 길 위의 별들
3부 세상의 향기
에필로그 기억의 끝
심사평 / 작가의 말 / 참고문헌에 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