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 - 그 철학적 주제들 : 헤겔총서 01
이 책 〈헤겔-그의 철학적 주제들〉은 〈Frederick Beiser, Hegel〉 Routledge, USA & Canada, 2005를 옮긴 것이다. 루트릿지 출판사의 ‘루트릿지 철학자들’이라는 새로운 시리즈의 문을 열고 있는 이〈헤겔〉은 헤겔 철학의 간단한 역사적 배경과 핵심 논증들 그리고 헤겔의 철학적 유산 및 헤겔 철학에 관한 좀 더 읽을거리와 헤겔 용어 해설을 담고 있다. 도서출판 b에서는 이 책을 필두로 해서 〈헤겔총서〉를 기획하였다.
헤겔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을 위한 입문을 목표로 하는 이 〈헤겔〉에서 바이저는 일반적 입문들과는 달리 텍스트 소개나 전기적인 서술이 아니라 주제적 방식으로 헤겔 철학의 주요 측면들을 다룬다. 먼저 헤겔을 왜 읽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의 헤겔 철학에 대한 접근 방법과 관련된 문제들을 검토하고 헤겔의 생애와 시대를 개관한 후, 바이저는 제1부에서 헤겔의 철학적 맥락과 초기 이상들을 독일 낭만주의 운동의 맥락 안에 자리매김하고 있다. 여기서는 또한 스피노자와 칸트 그리고 다른 동시대인들의 사상에 대한 헤겔의 투쟁이 지닌 중요성이 설명된다. 이어 제2부에서 바이저는 헤겔의 형이상학, 즉 그의 ‘절대적 관념론’과 ‘유기체적 형이상학’이라는 사유의 초석, 그리고 그의 ‘정신’ 개념과 그가 수행한 사유의 ‘종교적 차원’을 소개하고 평가한다. 제3부에서는 인식론적 문제들이 다루어지는데, 특별히 많은 사람들에 의해 헤겔의 가장 중요한 공헌으로 간주되는 것, 즉 그의 변증법적 방법이 명확하게 설명되고 아울러 〈정신현상학〉에서의 상호주관성 지배와 예속 에 대한 좀 더 주해적인 시도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바이저는 제4부에서 헤겔의 사회철학과 정치철학을, 그리고 제5부에서 역사철학과 미학을 소개한 후, 에필로그에서 철학사에서의 위치를 고려하는 가운데 헤겔의 유산에 대한 이를테면 짧은 고해성사로 논의를 끝맺고 있다.
바이저가 헤겔 철학을 특히 그 역사적 맥락과 지적 발전에 대한 상세한 연구에 기초하여 재구성한 것, 가령 논의를 1790년대의 ‘근본명제비판’을 둘러싼 문제들에서 시작하고 헤겔에게 미친 초기 낭만주의의 형성적 역할을 강조하는 것 등은 우리의 헤겔 이해에 새로운 눈을 뜨게 해준다. 바이저는 그 밖의 다른 중요한 통찰들을 제시한다. 가령 ‘정신’과 헤겔의 종교철학을 다루는 곳들에서 바이저는 헤겔의 ‘내재적’ 신 개념에 일관되게 이루어지는 구원 신화에 대한 비판과 베를린 텍스트에서 보이는 루터주의에 대한 그의 제한된 보증을 명확하고 균형 있게 다루고 있다. 나아가 헤겔의 사회·정치적 사유 및 그의 국가 이론에 관한 장들은 역사적 맥락에 놓인 인간 의지의 목적론을 강조하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적인 해석을 유감없이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바이저의 해석은 다양한 측면들을 화해시키고 종합하는 헤겔의 태도에 대한 공정한 인상을 전해준다.
서문
약호
연대표
프롤로그
제1부 초기 이상들과 맥락
제1장 문화적 맥락
제2장 초기 이상들
제2부 형이상학
제3장 절대적 관념론
제4장 유기체적 세계관
제5장 정신의 영역
제6장 종교적 차원
제3부 인식론적 기초들
제7장 변증법
제8장 유아론과 상호주관성
제4부 사회철학과 정치철학
제9장 자유와 법의 기초
제10장 헤겔의 국가론
제5부 문화철학
제11장 역사철학
제12장 미학
에필로그
좀 더 읽을거리
헤겔 용어 해설
참고문헌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